남사 힐스테이트 는 연일 방문객들로 붐비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‘가계부채 관리 방안’(6·27 부동산 대책) 발표 이후 수도권 시장에서 매매가 10억원이 넘는 아파트의 계약 취소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.
글쓴이 :
dodo
조회 : 20
남사 힐스테이트 는 연일 방문객들로 붐비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‘가계부채 관리 방안’(6·27 부동산 대책) 발표 이후 수도권 시장에서 매매가 10억원이 넘는 아파트의 계약 취소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.부동산 중개 플랫폼 집토스는 올해 1월 1일~6월 27일 거래된 수도권 아파트 매매 계약을 분석한 결과 대책 발표 이후(6월 27일~7월 15일) 해지한 계약 가운데 10억원 초과 아파트 비중은 35.0%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. 대책 발표 전(1월 1일~6월 26일) 취소된 거래 중 10억원 초과 아파트 비중은 26.9%였다. 대책 발표 이후 계약 해지 비중이 8.1%포인트 증가한 것이다.취소된 계약 중 5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은 대책 발표 전 32.2%에서 발표 이후 25.0%로 줄었다. 집토스 관계자는 “이번 대책이 고가 아파트에 영향을 많이 줬다는 뜻”이라며 “매수자들이 심리적 부담을 느껴 계약금 포기까지 감수하며 거래를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”고 말했다.서울에서는 강남권뿐만 아니라 노도강(노원·도봉·강북구) 등 외곽 지역도 계약 취소 비중이 늘었다.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서초구는 전체 거래 중 계약 해지 비율이 대책 전 2.5%에서 이후 5.7%로 급등했다. 강남구도 5.1%에서 6.5%로 높아졌다. 남사 힐스테이트 이른바 ‘영끌(영혼까지 끌어모은) 매수’가 많던 노원구는 계약 해지 비율이 5.3%에서 7.3%로 상승했다. 강북구와 도봉구 등도 대책 발표 이후 계약 해지 비중이 늘었다.용인 남사 힐스테이트